반찬이 필요 없는
콩나물밥
안녕하세요 솔빛길입니다.
몸에 좋은 음식도 계속 먹으면 질리기 마련이죠.
매일 먹는 잡곡밥이 실증 나서
오늘 점심으로
#콩나물밥을 만들어봤어요.
짭조름한 양념장에 콩나물, 밥을 슥슥 비벼
달달한 소고기를 얹어 먹으면
그 자체만으로 완벽해서
다른 반찬이 필요 없어요.
콩나물은
옛날부터 술 마신 다음날은 콩나물국밥을 먹듯이
간기능을 높여줘 숙취해소에 도움을 줍니다.
혈액을 맑게 해서 심혈관질환, 염증완화,
빈혈 예방에 좋습니다.
좋은 콩나물 고르는 법은
줄기가 통통하고 검은색 반점과
잔뿌리가 없는 게 좋습니다.
오랜만에 먹으니 정말 맛있어서
저녁식사로도 먹었어요.
아삭아삭 #콩나물밥 만들기 시작합니다:)
콩나물밥
재료
- 콩나물 2 줌
- 당근 1/3 개
- 대파 1/2 개 + 1/2 개
- 말린 표고버섯 5 개
- 다시마 5 cm
- 불고기용 소고기 200 g
- 쌀 2 컵
- 물 1 컵 + 2 컵
- 다진 마늘 1/2 숟가락
- 진간장 2 숟가락 + 3 숟가락
- 설탕 1/3 숟가락
- 맛술 1 숟가락
- 참기름 1 숟가락
- 후추 2꼬집
- 청주 1 숟가락
- 고춧가루 2/3 숟가락
- 올리고당 2/3 숟가락
- 참깨 1꼬집
- 압력밥솥
- 채반
* 1숟가락은 밥숟가락 한번 기준입니다.
#콩나물밥 만드는 법
1. 재료 손질하기
1) 씻고 껍질, 뿌리 제거한 당근 1/3 개
작게 네모 썰기 해요.
2) 씻고 껍질, 뿌리 제거한 대파 1/2 개 어슷썰기,
대파 1/2 개 다지기 해요.
3) 그릇에 채 썰은 말린 표고버섯 5 개, 물 1 컵
붓고 5분간 재여 놓아요.
4) 씻은 다시마 5 cm 가위로 네모나게 잘라줘요.
2. 콩나물 삶기
1) 센 불로 냄비에 씻은 콩나물 2 줌, 물 2 컵
뚜껑 덮고 끓면 중불로 낮춰서
3분 더 끓여줘요.
2) 콩나물 국물은 그릇에 따라주고,
콩나물만 채반에 받쳐 찬물로 씻어주세요.
(콩나물 삶은 국물)
- 콩나물 삶고 나온 국물은 밥 지을 때 사용할 거예요.
3. 소고기 양념에 재여 놓기
그릇에 불고기용 소고기 200 g,
다진 마늘 1/2 숟가락, 진간장 2 숟가락,
설탕 1/3 숟가락, 맛술 1 숟가락,
참기름 1 숟가락, 후추 2꼬집 섞어서
10분간 재여 놓아요. (양념된 소고기)
4. 콩나물밥 취사하기
1) 압력밥솥에 3번 씻은 쌀 2 컵,
물기 짠 말린 표고버섯, 자른 당근,
콩나물 삶은 국물 2 컵, 청주 1 숟가락 넣고
쾌속으로 설정 후 30분간 기다려요.
2) 다시마는 건져주세요.
5. 소고기 볶기
센 불로 프라이팬에 양념된 소고기,
어슷썰기 한 대파 1/2 개 3분간 볶아주세요.
6. 콩나물밥 양념장 만들기
그릇에 진간장 3 숟가락, 고춧가루 2/3 숟가락,
올리고당 2/3 숟가락, 다지기한 대파 1/2 개,
참깨 1꼬집을 섞어주면
#콩나물밥 완성!
+콩나물밥 먹는 방법 )
[ 밥 - 소고기 - 콩나물 - 양념 2 숟가락 -
참기름 1 숟가락 - 참깨 1꼬집 ] 비벼서 드세요.
오랜만에 먹으니 정말 맛있어서
저녁식사로도 먹었어요.
콩나물과 밥뿐만 아니라
추가로 당근, 표고버섯, 다시마를 넣으면
윤기가 나면서 밥이 찰지고 맛있어져요.
점심으로 #콩나물밥 만들어 보세요!
★콩나물밥 오늘의 꿀팁★
▶ 콩나물 비린내를 잡으려면 뚜껑을 계속 덮거나 계속 열어줘야 해요.
▶ 소고기를 양념에 재여 놓아야 맛이 잘 배요.
▶ 다시마를 밥 지을 때 넣으면 감칠맛이 나요.
▶ 채 썰은 무를 밥 지을 때 같이 넣어도 좋아요.
소중한 댓글과 하트
감사합니다.
'요리 & 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삼계탕 만드는 법 복잡한 육수 만들지 말아요! 초간단 뽀얀 육수 보양식 삼계탕 만들기 (461) | 2023.12.04 |
---|---|
숙주나물무침 흐물흐물한 숙주의 반란! 질기지 않는 아삭아삭하고 촉촉한 10분 완성 숙주볶음 (427) | 2023.11.30 |
돼지갈비김치찜 압력밥솥 없이 야들야들한 돼지갈비묵은지찜 만들기 - 묵은지 요리 2탄 (454) | 2023.11.23 |
배추김치 담그는 법 쉽고 아삭아삭 맛있는 김치 만들기 포기김치 (448) | 2023.11.20 |
차돌박이 야채말이찜 5분 완성 기름기 없이 촉촉하고 담배한 차돌박이 야채말이 집들이/도시락/생일상 요리 (454) | 2023.11.16 |